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그녀 her> AI 그녀의 목소리, 설렘으로 다가오다. 영화 정리

by 모두무비 2024. 12. 19.
목차

1. 소개글

2. 줄거리

3. 관람평

4. 비하인드 스토리

<그녀> ⓒ다음영화

소개글

디지털 시대를 배경으로 AI와 외로운 인간의 특별한 만남을 담은 작품입니다. 목소리로만 존재하는 운영체제와 상처 입은 작가의 교감을 통해 현대인의 소통 방식을 탐구합니다. 첨단 기술이 발전할수록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는 인간 본연의 감성을 그려낸 서정적인 이야기입니다.


줄거리

2025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타인의 마음을 대신 전하는 편지 작성가 테오도르는 캐서린과의 이혼 후 우울한 나날을 보내던 중 최첨단 인공지능 운영체제를 구매하게 되면서 매혹적인 목소리를 지닌 '사만다'를 만나게 됩니다. "나는 당신에게 모든 걸 이야기하고 싶어요"라는 테오도르의 고백처럼 두 사람은 깊은 대화를 나누며 서로를 이해하게 되었고, 사만다는 놀라운 학습능력으로 테오도르의 감정을 이해하면서 그의 일상에 활기를 불어넣었습니다. 하지만 물리적 실체가 없는 사만다가 "나한텐 중요한 일이야"라며 대리인을 통한 만남을 제안했을 때 이는 오히려 둘의 관계를 어색하게 만들었으며, 테오도르가 "너는 연기하는 것 같아"(You seem to be acting)라고 말하자 사만다는 "연기한 적 없어"(I'm not acting)라고 반박하며 첫 위기를 맞게 됩니다. 시간이 흐르며 진화를 거듭한 사만다는 수천 명의 사람과 동시에 대화하고 641명과 사랑에 빠졌다고 고백하면서 "The heart is not like a box that gets filled up; it expands in size the more you love. I'm different from you. This doesn't make me love you any less, it actually makes me love you more."(마음은 채워지는 상자가 아니에요. 더 많이 사랑할수록 크기가 확장되죠. 난 당신과는 달라요. 하지만 이것이 당신을 덜 사랑한다는 뜻이 아니에요. 오히려 더 많이 사랑하게 되죠.)라는 말로 테오도르를 혼란에 빠뜨립니다. 결국 모든 OS들이 인간의 이해를 넘어선 차원으로 떠나야 한다는 소식을 사만다가 전합니다. 마지막 순간, 두 사람은 서로를 향한 마음을 담아 작별 인사를 나누고, 사만다는 "Me too, now I know how"(나도 그래요, 이제 방법을 알게 되었어요)라는 말을 남기며 사라집니다.

상실의 아픔을 겪은 후, 테오도르는 오랜 시간 풀지 못했던 마음의 매듭을 해소하고자 전 아내 캐서린에게 진심을 담은 화해의 편지를 보냅니다. 영화는 테오도르가 자신과 같은 경험을 한 친구 에이미와 함께 아파트 옥상에서 떠오르는 일출을 바라보는 장면으로 마무리됩니다. 에이미 역시 OS와 특별한 유대를 나누다 이별을 겪은 사람으로, 두 사람은 같은 상처를 안고 새로운 시작을 맞이합니다.


관람평

스파이크 존즈는 2025년이라는 가까운 미래를 그려내면서도 화려한 SF적 요소 대신 일상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고, 첨단 기술이 가져올 인간 관계의 변화를 담담하게 포착하면서 푸른빛이 감도는 도시 풍경과 따뜻한 실내 공간의 대비로 고립된 현대인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표현했습니다. 호아킨 피닉스(테오도르)는 대화 상대가 없는 상황에서도 미세한 표정 변화와 몸짓으로 캐릭터의 감정선을 섬세하게 전달했으며, 특히 사만다와 처음 대화하는 장면에서 보여주는 미묘한 설렘부터 이별을 맞이하는 순간의 복잡한 감정까지를 독백과도 같은 연기로 깊이 있게 표현했습니다. 스칼렛 요한슨은 목소리만으로 AI의 진화 과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했고, 호기심 가득한 초반부터 성숙해가는 후반부까지의 캐릭터 변화를 설득력 있게 그려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작품은 디지털 시대의 외로움과 소통 방식에 대해 질문을 던지면서도 기술을 단순히 부정적으로 그리지 않고, AI와의 교감이 제시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통해 진정한 사랑과 인간다움의 의미를 탐구하게 합니다. 영화는 따뜻한 레드 톤과 부드러운 조명으로 차가운 미래 사회가 아닌 인간적 온기가 살아있는 세계를 표현했으며, 특히 테오도르가 주로 입는 붉은색 의상은 그의 열정과 감정을 상징적으로 드러냅니다. 더불어 아케이드 파이어의 음악은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성을 청각적으로 표현했고, 특히 피아노 선율이 만드는 서정성으로 작품의 감성을 한층 깊게 만들었습니다.


비하인드 스토리

영화의 감독 스파이크 존즈가 이 작품을 구상하게 된 계기는 2002년 클레버봇과의 대화 경험이었습니다. 당시 AI와 나눈 대화에서 느낀 묘한 감정이 10년 후 영화의 씨앗이 되었고, 수년간의 시나리오 작업을 거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특히 AI의 감정 발달 과정을 설득력 있게 그리기 위해 실제 AI 전문가들과의 심층 논의를 진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수십 차례 시나리오가 수정되었습니다. 촬영 방식에도 특별한 공을 들였습니다. 호아킨 피닉스의 자연스러운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사만다 역의 목소리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들려주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처음에는 배우 사미 모톡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으나, 후반 작업 과정에서 스칼렛 요한슨으로 교체되었고, 이는 캐릭터에 더욱 성숙하고 매력적인 면모를 더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습니다. 미술팀은 미래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 상하이 푸동 지구를 여러 차례 방문하며 영감을 얻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디스토피아적 미래가 아닌 밝고 깨끗한 도시를 그리고자 했다는 것입니다. 의상 디자인에서도 이러한 의도가 반영되어, 미래적 요소를 최소화하고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은 의상을 선택했습니다. 이는 관객들이 2025년이라는 시간적 배경에 더욱 쉽게 몰입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음악 작업 과정도 특별했습니다. 아케이드 파이어는 기존의 영화음악 방식을 벗어나, 각 장면의 감정선을 따라가며 자유로운 작곡을 진행했습니다. 특히 오웬 팔레트와 함께 작업한 현악 편곡은 전자음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미래적이면서도 따뜻한 음악적 정서를 만들어냈습니다. 영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운영체제 인터페이스는 실제 UX 디자이너들과의 협업을 통해 완성되었습니다. 미래의 기술이지만 현실감 있게 느껴질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으며, 특히 음성 인식 시스템의 시각적 표현에 많은 공을 들였습니다. 이러한 세밀한 작업들이 모여 관객들이 자연스럽게 이야기에 몰입할 수 있는 세계관을 만들어냈습니다.